[좋은수필]쟁기 / 임병식

좋아/임·변식 등산로에서 예전처럼 소를 몰고 좋아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아침 일찍 시작했는지 어서 시간인데 마른 논 2개를 뒤집어 3번째의 밭 고랑에 들어 있었다.

곁에 서서 바라보는 쌓인 두꺼우가 정연하다만, 물기가 젖어 있다.

” 이랴, 이랴”라는 소가 힘이 넘쳐나는데 농부들은 잇달아 조르다.

그래서 부리망을 쓴 소는 학수고대하고 눈을 크게 한번 해반닥거리” 이래도 제가 늦을 거다”라고 하듯이 빠른 걸음을 옮기다.

그래서 몸에 매달리는 속도도 빨라지고 상쾌한 마찰음을 내고 보습 날에 떠오르는 흙이 벼를 통해서 위에 뛰어오르다 쓰러지고 뒤집히다.

그런 사람이 너무 볼 만하다.

이 정도 솜씨라면 소도 농부도 위 남자라고 생각한다.

옛 사람들은 머슴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전골과 귀걸이, 오히려 마련을 꼽았다.

물론 힘이 토대가 되어야 할 것으로 가끔 돌을 들어올리는 것에서 체력 측정도 했지만, 강력함만이 능사는 아니었다.

오히려 그보다는 일의 앞뒤를 알아볼 수 있는지, 날씨와 나를 알아볼 수 있는지 등의 능력이 중시됐다.

농촌에 살면서도 몸이 약해서 일할 수가 없다.

아버지는 장래에 집안 일을 내가 맡게 하는 걸 원했다.

당신 곁에 아들 3명이 있었으나 장남은 장사를 한다고 외지로 돌아다니면서 막내는 어린 데다 머리가 좋고 농촌에 썩긴 아깝잖아 그래서 성격이 무난한 나를 지목한 것이다.

어쨌든 사정이 그렇게 되어 저는 어려서부터 재벌 2세가 친 사업을 이어받기 위해서 경영 수업을 쌓도록 일을 배우고 갔다.

초등 학교 저학년 때는 맨 손을 짊어지고 산에 올라가서 솔방울을 줍거나 마른 나무 등을 주고 다니면서 고학년으로 올라가서는 소에게 먹이는 모양을 한 맨 손씩 해를 나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좀 더 크면 일요일이나 방학 때 되면 머슴과 똑같이 들 일을 했다.

그런데 너무도 뿌리가 둔한 데 왼손잡이의 나는 집에 있는 낫이 한결같이 손에 잡히지 않고 손가락을 자르기가 한두번이 아니라 지게도 등에 달라붙지 않고 힘이 있는데 다른 사람처럼 많이 지고 운반할 수 없었다.

그런 가운데도 견습은 계속됐다.

그 대표적인 것이 전골이다.

바꿔치기의 일은 옛날부터 시어머니가 주권을 넘기는 것을 싫어하도록 젊은이들에게 전수는 안 되지만 나는 아버지의 기대와 관심에서 과거 실습이 가능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우선, 부리는 사람이 개운치 않은 탓인지, 소가 잘 말을 듣지 않았다.

마치 서투른 기수를 말이 거부하도록 손잡이를 바쯔군으로 따내고도 바로 가지 않고 물보라를 내어 버리거나, 뒷걸음질 치고 거칠고 반항했다.

그래서 누가 옆에서 코를 잡아야 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보습 날을 좀 낮추면 틀림없이 땅에 찔리고 오히려 다음에는 좀 들어 올리려고 썰매처럼 땅을 산뜻하게 스치고 날리는 것이었다.

게다가 좋아하게만 신경을 쓰는가, 눈은 항상 전방 10m~10m정도를 주시하고 장애물이 있는지, 간격은 맞는지, 어디로만 끝나는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

그리고 헤어지는 목소리도 소홀히 흘려들을 일이 아니다.

암석이라도 하면 큰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정이 잘되면 틈샐수록(재미 있는 일도 없었다.

일에 몰두하고 있다고 시간은 어느새 순식간에 지나가고 뒤집은 작업량이 하루의 성과를 그대로 보이어 줘서 기뻤다.

전골은 메마른 땅의 것도 묘미가 있지만 무 논에서 전골은 한층 달라진 맛이 있었다.

소가 앞 정강이에서 힘차게 물을 차면서 앞으로 갈 때 속을 뒤집었다 그 지반 위를 밟고 지나가는 기분은 개척자의 기분이다.

이어 폭포가 쏟아질 듯, 그 안에 몰려물의 동요, 그것은 하나의 활력이었다.

저는 그렇게 수많은 실수를 저지르며 틈을 익혔다.

그동안 조작 미숙으로 장애물을 맞히고 파손된 보습만 2개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한번도 꾸짖지 않았다.

이유는 아마 힘든 농사에 거스르지 않고 대해서 배우려는 태도를 가상으로 느낀 점이 있을 것이고, 한편으로는 그런 나의 부조에 의해서 자칫하면 지혜를 써서 뼈탕을 마시는 머슴에 대해서 견제하는 성과를 거뒀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머슴은 그렇게 고생시키고 걱정을 끼친 데…아버지는 머슴이 파문을 일으키는 날에는 보란 듯이 그만큼의 밀린 일을 해놓도록 하고 그를 부끄럽게 만들어 놓기도 했다.

당시 집에서는 2마리 소를 기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그 중 한마리의 소가 고삐를 늦추어 나오고, 오히려 오히려에 벌린 보리를 먹고 고창증으로 죽은 사고가 발생했다.

그러나 면 사무소에서는 소를 부검 없이 무조건 땅에 매장하겠다고 말했다.

병명을 모르니 먹어서는 안 된다는 탓에 집에서는 한푼도 하지 못하고 말았다.

게다가 나머지 1마리의 마소도 잠시 후 아버지가 입원했기 때문에 병원비 충당으로 팔아 버렸다.

그 아픈 사연을 안고 있는 그 시절 하던 틈이 지금도 시골 집의 허 파랑 담에 수십년간 매달리고 있다.

그리고 한편 그토록 농부로 되어 고향 땅을 지키기를 바라고 있던 나도 그 과부를 박차고 도시에 나오는 무용지물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런데 가끔은 전골을 하고 보고 싶을 때가 있다.

마음이 우울해서 가슴이 괴로울 때를 생각하지만 그렇게 소를 몰고 많이 다투면 왠지 가슴이 시원하고 가볍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농부도 아니고 다른 일에 성공도 못했다.

아버지는 지하에서 일을 조련시킨 아이가 당신의 소망대로 농군원이 되었다고 알고 있을까. 이 불효한 아이는 당신이 물러나고 준 논마저 이런 저런 이유로 없애버린 것으로 얼굴을 들얼굴조차 없다.

등산로로 밭을 갈다 소를 보고 한식 경이나 눈을 떼지 못한 것은, 만일 당신이 물려준 논밭을 지키지 못한 불효의 대책이 아니던가..